주식/투자 공부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미국 ETF 첫 번째 정리 (TLT, TLTW, IEF, SHV, SPTI ETF)

이킷 2023. 9. 1.

1. 채권 개요

이번에 공부해 볼 미국 ETF는 미국 국채와 관련된 ETF입니다. 국채는 국가가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거나 지금까지 발행된 국채의 상환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또한 채권 이란 자산을 조성하기 위해 빌린 돈을 정해진 기한(만기일)에 따라 상환하겠다는 채무 증서를 증권화한 것입니다.


1. 채권 가격 형성 과정 간단히

먼저 채권의 가격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됩니다. 채권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예금의 개념과는 조금 다릅니다. 예금은 금리가 올라갈수록 가치가 함께 올라간다고 할 수 있지만 채권은 가치가 정해져 있는 고정 수익 형태로 가치는 변하지 않고, 우리가 구매하는 시점의 금리에 따라 구매 가격이 변동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금리가 5%일 경우 예금은 100을 넣으면 일정 기간 이후 105의 가치를 형성하게 되지만, 채권의 경우 100이라는 가치는 변하지 않고, 우리가 채권을 살 때 95.24의 가격으로 구매하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금리가 6%로 오르면 채권은 94.34의 가격으로 구매하게 되고, 4%로 떨어지면 채권은 96.15의 가격으로 구매하게 되는 것입니다. 때문에 채권은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가격이 떨어지게 되며, 금리가 내려가게 되면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2. 채권의 이자 (쿠폰 이자)

미국 국채 ETF들 중에서는 배당(분배금)을 규칙적으로 지급하는 ETF도 많은데 이러한 분배금은 쿠폰(Coupon)으로 인한 것이며, 이러한 쿠폰의 이자율은 채권 수익률과는 다른 채권의 액면 가격에 대한 연이자율(쿠폰 이자율, Coupon Interest rate)로 표시되고, 보통 연 1회, 2회 또는 4회에 걸쳐 지급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채권이 3년 만기에 쿠폰 이자율이 5%라면 만기일 이전까지 매년 액면가의 5%에 해당하는 쿠폰 이자를 지급받게 되는 것이고, 액면가가 100달러인 채권이 매년 3달러의 고정된 이자를 지급한다면 쿠폰 이자율 3%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쿠폰 이자가 없는데도 분배금을 지급하는 경우에는 ETF 운용 이익 중에서 일정액을 분배금 형태로 지급한다고 합니다.


3. FedWatch의 기준 금리 예상

2021년 10월 말부터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역대급 금리 인상으로 미국 국채 ETF들의 가격은 매우 낮아진 상태이고, 전문가들은 앞으로 금리 인하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미국 국채 ETF들을 관심 있게 살펴보고 있습니다. 현재 FedWatch에 따르면 2024년 1월 말 FOMC부터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고, 2024년 12월에는 지금보다 100bp 낮은 4.25%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TLT, TLTW, IEF, SHV, SPTI ETF 정리 (2023/8월 말 기준)

각 ETF의 구성 종목에 대해서 국가와 종목 TOP 10을 같이 올려드리고 있지만 최신 구성 종목과 비중등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첨부드리는 ETF 사이트 링크를 통해 직접 최신 구성 종목을 직접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0. ETF 요약정리

티커 TLT TLTW IEF SHV SPTI
이름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BuyWrite Strategy ETF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iShares Short Treasury Bond ETF SPDR® Portfolio Intermediate Term Treasury ETF
추종 지수 IDC US Treasury 20+ Year Index CBOE TLT 2% OTM Buywrite Index ICE US Treasury 7-10 Year Index ICE Short US Treasury Securities Index Bloomberg 3-10 Year U.S. Treasury Index
현재 주가 96.64 $ 31.04 $ 94.80 $ 110.50 $ 28.07 $
상장일
( YY/MM/DD )
02/07/22 22/08/18 02/07/22 07/01/05 07/05/23
운용 수수료 0.15% 0.35% 0.15% 0.15% 0.03%
자산 규모 40.51B $ 648.41M $ 28.35B $ 20.41B $ 3.957B $
평균 거래량 26,159,561 680,367 6,690,945 2,520,824 4,266,693
작년 배당률 2.67% 8.71% 1.96% 1.39% 1.45%
연 평균 배당 변동률 - 2.32% -- +0.28% -- +2.20%
연 평균 수익률 +3.88% -- +3.33% +0.94$ +2.23%

1.TLT ETF

 
 

▶ TLT의 기본 정보

▷ 이름 :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 현재 주가 : 96.64 $

▷ 운용사 : iShares (by BlackRock)

▷ 상장일 : 2002/07/22

▷ 액티브 / 패시브 : 패시브

▷ 추종 지수 : IDC US Treasury 20+ Year Index ( *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Index )

▷ 작년 분배율(배당률) : 2.67%

▷ 운용 보수(수수료) : 0.15%

▷ 자산 규모 : 40.51B $

▷ 평균 거래량 : 26,159,561

▷ TLT ETF 사이트

먼저 TLT ETF의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배당률은 2.41%이고 작년 배당률은 2.67%입니다. TLT는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월배당을 시행하고 있고, 가장 최근에 지급한 기록은 2023년 8월 7일에 지급한 0.275282달러로 당시 주가의 약 0.288%입니다.

 

참고로 TLT는 월배당을 시행하고 있는데 1월에는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대신 12월 초와 중후반에 배당을 지급하여 개월 수를 맞추고 있습니다.

 

TLT의 상장 직후 연도를 제외한 연평균 배당 변동률은 -2.32%입니다. 상장 직후 연도를 제외하고 8번의 배당 성장과 11번의 배당 삭감이 진행되었고, 평균 배당 성장률은 5.29%, 평균 배당 삭감률은 7.86%입니다.

 

TLT는 iShares의 패시브 ETF로 IDC US Treasury 20+ Year Index 지수를 추종합니다. TLT는 미국 장기 국채, 만기가 20년 이상인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TLT 구성 종목
타입 비중(%) 타입 비중(%)
AA Rated 98.47 15 - 20 Years 5.62
Cash and/or Derivatives 1.53 20+ Years 92.85
    Cash and Derivatives 1.53

2. TLTW ETF

 
 

▶ TLTW의 기본 정보

▷ 이름 :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BuyWrite Strategy ETF

▷ 현재 주가 : 31.04 $

▷ 운용사 : iShares (by BlackRock)

▷ 상장일 : 2022/08/18

▷ 액티브 / 패시브 : 패시브

▷ 추종 지수 : CBOE TLT 2% OTM Buywrite Index

▷ 운용 보수(수수료) : 0.35%

 * 0.5% (Expense Ratio) - 0.15%(Fee Waivers**)

 ** 2028년 2월 29일까지 일부 수수료 면제

▷ 자산 규모 : 648.41M $

▷ 평균 거래량 : 680,367

▷ TLTW ETF 사이트

연도 지급일 ( MM/DD ) 배당금 ($) 배당률 (%)
2023 08/08 0.19674 0.63
07/11 0.53793 1.67
06/08 0.35059 1.06
05/08 0.53104 1.59
04/10 0.64760 1.89
03/08 0.30928 0.94
02/08 0.46449 1.35
2022 12/30 0.51650 1.59
12/08 0.48677 1.39
11/08 0.62072 1.89
10/11 0.64428 1.76
09/09 0.55621 1.47

먼저 TLTW의 배당에 대해 말씀드리면 TLT와 같이 월배당을 지급하고 있고, 1월에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대신 12월에 2번 지급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위 표를 보시면 한번 배당을 지급할 때 1%~ 2% 사이의 배당을 지급하는 것으로 보이고, 총배당률은 10%대 중반으로 보입니다. 상장 연도인 작년 배당률은 8.71%였습니다.

 

TLTW는 iShares의 패시브 ETF로 상장된 지 이제 막 1년이 넘은 ETF입니다. TLTW는 TLT와 같이 만기가 20년 이상인 미국 국채를 투자하는 ETF입니다. TLT와의 차이점은 TLTW는 미국 국채를 투자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콜 옵션을 판매하는 커버드 콜 전략을 함께 채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TLTW는 채권 가격이 급격히 상승할 때 TLTW의 상승률은 제한적일 수 있지만 TLT보다 더 많은 배당을 받을 수 있고, 단기적인 하락에도 어느 정도 방어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아직 상장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금리 인하가 진행될 때 TLTW의 가격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시고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TLTW 구성 종목
타입 비중 티커 종목명 비중(%) 타입 비중(%)
20+ Y 91.83 TLT ISHARES 20+ YEARS TREASURY BOND ETF 99.98 AAA RATED 0.2
15 - 20 Y 5.56 XTSLA BLK CSH FND TREASURY SL AGENCY 1.11 AA RATED 97.4
1 - 2 Y 0.17 USD USD CASH -0.01 Cash and Derivatives 2.41
0 - 1 Y 0.03 TLT US FLEX SEP23 TLT US C -1.07    
Cash and
Derivatives
2.41          

3. IEF ETF

 
 

▶ IEF의 기본 정보

▷ 이름 :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 현재 주가 : 94.80 $

▷ 운용사 : iShares (by BlackRock)

▷ 상장일 : 2002/07/22

▷ 액티브 / 패시브 : 패시브

▷ 추종 지수 : ICE US Treasury 7-10 Year Index

▷ 작년 분배율(배당률) : 1.96%

▷ 운용 보수(수수료) : 0.15%

▷ 자산 규모 : 28.35B $

▷ 평균 거래량 : 6,690,945

▷ IEF ETF 사이트

먼저 IEF ETF의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배당률은 1.75%이고 작년 배당률은 1.96%입니다.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월배당을 시행하고 있고, 가장 최근에 지급한 기록은 2023년 8월 7일에 지급한 0.24154달러로 당시 주가의 약 0.255%입니다. 참고로 IEF도 1월에 배당을 지급하지 않고, 12월에 2번 배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IEF의 상장 직후 연도를 제외한 연평균 배당 변동률은 +0.28%입니다. 상장 직후 연도를 제외하고 7번의 배당 성장과 12번의 배당 삭감이 진행되었고, 평균 배당 성장률은 22.69%, 평균 배당 삭감률은 12.80%입니다.

 

IEF는 iShares의 패시브 ETF로 ICE US Treasury 7-10 Year Index 지수를 추종합니다. IEF는 만기가 7~10년 정도 남아있는 미국의 중기 국채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IEF 구성 종목
타입 비중(%) 타입 비중(%)
7 - 10 Years 82.09 AA Rated 99.43
5 - 7 Years 17.34 Cash and/or Derivatives 0.57
Cash and Derivatives 0.57    

4.SHV ETF

 
 

▶ SHV의 기본 정보

▷ 이름 : iShares Short Treasury Bond ETF

▷ 현재 주가 : 110.50 $

▷ 운용사 : iShares (by BlackRock)

▷ 상장일 : 2007/01/05

▷ 액티브 / 패시브 : 패시브

▷ 추종 지수 : ICE Short US Treasury Securities Index

▷ 작년 분배율(배당률) : 1.39%

▷ 운용 보수(수수료) : 0.15%

 * 0.16% (Expense Ratio) - 0.01% (Fee Waivers**)

 ** 2026년 6월 30일까지 일부 수수료 면제

▷ 자산 규모 : 20.41B $

▷ 평균 거래량 : 2,520,824

▷ SHV ETF 사이트

먼저 SHV의 배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HV는 상장 이후 월 배당을 지급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1월에 지급하지 않는 대신 12월 초와 말에 한 번씩 총 두 번 주며 개월수를 맞추고 있습니다. SHV의 작년 배당률은 1.39%였습니다.

 

SHV의 배당률 그래프는 미국의 기준 금리 그래프와 거의 흡사한 것을 알 수 있는데 미국의 기준 금리가 상승하면 SHV의 배당률도 같이 상승했고, 기준 금리가 0%에 가까운 초저금리 시대에는 배당금이 비교적 적거나, 배당을 주지 않은 달도 있었습니다.

 

실제로 기준금리가 거의 0%였던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배당률은 0.1% 미만이었습니다. 그중에서 2014년의 배당금은 약 0.0009달러로 거의 없었고, 2021년에는 아예 배당을 한 번도 지급하지 않은 해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SHV는 iShares의 패시브 ETF로 ICE Short US Treasury Securities Index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SHV는 만기가 최소 1개월 이상, 1년 미만인 미국 채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다른 미국 채권 ETF와 달리 SHV는 쿠폰 이자가 없는 제로 쿠폰 채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포스팅 초반부에 말씀드린 쿠폰 이자가 없는데 분배금을 지급하는 경우가 바로 SHV 같은 경우입니다.

 

 

SHV 구성 종목
타입 비중(%) 타입 비중(%)
AA Rated 8.55 0 - 1 Years 8.55
Cash and/or Derivatives 91.45 Cash and Derivatives 91.45

5. SPTI ETF

 
 

▶ SPTI의 기본 정보

▷ 이름 : SPDR® Portfolio Intermediate Term Treasury ETF

▷ 현재 주가 : 28.07 $

▷ 운용사 : SSGA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상장일 : 2007/05/23

▷ 액티브 / 패시브 : 패시브

▷ 추종 지수 : Bloomberg 3-10 Year U.S. Treasury Index

▷ 작년 분배율(배당률) : 1.455

▷ 운용 보수(수수료) : 0.03%

▷ 자산 규모 : 3.957B $

▷ 평균 거래량 : 4,266,693

▷ SPTI ETF 사이트

먼저 SPTI ETF의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배당률은 1.29%이고 작년 배당률은 1.45%입니다.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월배당을 시행하고 있고, 가장 최근에 지급한 기록은 2023년 8월 7일에 지급한 0.071443달러로 당시 주가의 약 0.254%입니다. SPTI도 1월에 배당을 지급하지 않고, 12월에 2번 배당을 지급합니다.

 

SPTI의 상장 직후 연도를 제외한 연평균 배당 변동률은 +2.20%입니다. 상장 직후 연도를 제외하고 5번의 배당 성장과 9번의 배당 삭감이 진행되었고, 평균 배당 성장률은 42.08%, 평균 배당 삭감률은 19.95%입니다.

 

SPTI는 SSGA의 패시브 ETF로 Bloomberg 3-10 Year U.S. Treasury Index 지수를 추종합니다. SPTI는 만기가 3년 이상 10년 미만인 미국 중기 국채를 구성 종목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운용 수수료가 0.03%로 매우 작은 것이 특징입니다.

 

SPTI 구성 종목
타입 비중(%) 타입 비중(%)
AAA 0.27 3 - 5 Years 47.26
AA1 99.73 5 - 7 Years 34.09
    7 - 10 Years 18.38
    0 - 1 Year 0.27

3. TLT, IEF, SHV, SPTI 수익 비교

3. TLT, IEF, SHV, SPTI 수익 비교
포트폴리오 비쥬얼라이져 참고

위 사진은 TLT, IEF, SHV, SPTI ETF의 수익 흐름을 비교한 사진입니다. 4개 ETF 중 가장 최근에 상장한 SPTI의 상장일부터 현재까지를 나타내고 있고, 배당 재투자, 거치식으로 산정했으며, 로그스케일과 물가상승률을 적용했습니다.

 

역시 예상대로 만기일이 긴 순서대로 연평균수익률(CAGR)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도 단기적으로 본다면 비교적 만기일이 짧은 IEF가 TLT보다 좋은 수익을 보일 때도 있고, 심지어는 SPTI 보다도 TLT의 수익이 적을 때가 있어, 자신이 채권 ETF를 얼마나 보유할 것인지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단기 채권을 대상으로 하는 SHV ETF는 물가상승률을 적용시키냐에 따라 연평균성장률이 +0.92%에서 -1.42%로 바뀌어 실질적으로는 손실을 본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채권의 경우 오래 들고 있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미국 채권에 투자하는 미국 ETF 첫 번째 정리 (TLT, TLTW, IEF, SHV, SPTI ETF)
Unsplash 의 Jorge Salvador

 

 

* 개인적인 의견, 공부일 뿐 절대 투자 추천이 아니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랍니다.

** 오타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