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넷째 주인 1월 23일부터 27일까지 경제 지표, 뉴스, 시황과 특정 종목의 뉴스, 이슈 등을 정리했고, 마무리로 미국 3대 지수의 주간 흐름과 다음 주에 있을 경제 이벤트, 실적 발표 등을 정리했습니다.
1 / 23(월)
다우존스 | 나스닥 | S&P 500 |
+ 0.76% | + 2.01% | + 1.19% |
FOMC 25bp 인상 기대
이날 기술주 중심으로 강한 상승이 나왔는데 이유로는 이번 FOMC에서 25bp 인상이 진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이전 연준 위원들이 25bp가 적절할 것이라는 언급과 WSJ에서 이번 FOMC에서 기준 금리가 25bp 인상될 것이고 머지않은 시기에 금리 인상이 중단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현재 다음 FOMC에서 기준 금리 인상 확률을 볼 수 있는 페드 와치에 따르면 25bp 인상 확률이 99% 이상으로 거의 확정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슬라 7.7% 상승
테슬라는 작년 12월 말과 지난 1월 초에 바닥을 찍은 이후 최저점에서 약 30%이상 상승하며 최근 강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날 7%라는 강한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유로는 애널리스트들이 테슬라에 대한 투자 등급과 타겟 주가를 상향시킨 것과 이번주에 있을 실적발표를 앞두고 공매도 투자자들이 손실을 줄이기 위해 매수한 것이 주가 상승에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테슬라 이외에도 니오 9%, 루시드 12%, 리비안 11% 등 다른 전기차 주식들도 크게 상승했습니다.
ChatGPT 수혜주 ?
이날 엔비디아 7.5%, 퀄컴 6.6%, AMD 9.2% 등 반도체 주식이 매우 크게 상승했습니다. 또한 반도체 섹터가 아닌 마이크로소프트도 약 1% 상승했는데 모두 ChatGPT와 관련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ChatGPT를 개발한 오픈 AI와의 제휴를 강화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서비스인 빙이 타 검색 엔진과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엔비디아, 퀄컴, AMD 등의 반도체 주식은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의 활용도가 늘어남에 따라 AI용 반도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크게 상승했다고 합니다.
1 / 24(화)
다우존스 | 나스닥 | S&P 500 |
+ 0.31% | - 0.27% | - 0.07% |
MSFT , LMT , GE , MMM 실적 발표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주당 순이익은 예상치 2.30달러를 상회하는 2.32달러가 발표되었고, 매출은 예상치 530억 달러를 하회하는 527억 5천만 달러가 발표되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여겨지는 클라우드 부문의 매출이 전년 대비 18% 상승하면서 예상치 214억 달러를 상회하는 215억 달러가 발표되며 실적 발표 직후 애프터 장에서 5% 상승했었습니다.
다만 클라우드 부문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고, 컴퓨터 사업 부문의 실적이 하락하는 등의 이유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시한 1분기 매출 전망치가 시장 예상치에 하회하며 애프터 장에서 5% 상승하던 주가가 급락하며 1% 하락으로 전환되었습니다.
3M의 주당 순이익은 예상치 2.37달러를 하회하는 2.28달러가 발표되었고, 매출은 예상치 80억 6천만 달러를 상회하는 81억 달러가 발표되었습니다. 또한 3M은 수요 둔화로 인해 생산직 2500여 명에 대한 감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3M은 이날 6%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GE의 주당 순이익은 예상치 1.15달러를 상회하는 1.24달러가 발표되었고, 매출은 예상치 212억 달러를 상회하는 218억 달러가 발표되었습니다. GE는 이날 약 1%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록히드마틴의 주당 순이익은 7.41달러를 아주 소폭 하회하는 7.40달러가 발표되었고, 매출은 예상치 182억 8천만 달러를 상회하는 189억 9천만 달러가 발표되었습니다. 록히드 마틴은 이날 약 2%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구글 반독점 법 위반?
미국 법무부가 구글을 대상으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구글이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독점적인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불법적인 행위를 하고 있다는 이유입니다.
구글은 정부가 경쟁이 심한 광고 산업에 대해서 승자와 패자를 가리려 하고 있고, 혁신을 가로막는 다며 즉각 반발하였습니다.
지난 2020년에도 구글의 검색부문을 대상으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소송 문제로 인해 구글은 이날 2% 하락했습니다.
S&P 글로벌 구매관리자지수 (PMI) 발표
1월 예비치 | 12월 수치 | |
제조업 PMI 예비치 | 46.8 | 46.2 |
서비스업 PMI 예비치 | 46.6 | 44.7 |
S&P 글로벌에서 집계하는 1월 구매관리자지수 (PMI) 예비치가 발표되었습니다. 제조업 PMI 예비치는 46.8로 직전 수치인 46.2 보다 조금 상승했고, 서비스업(비제조업) PMI 예비치는 46.6으로 직전 수치 44.7보다 상승했습니다.
이번 제조업 PMI 수치는 작년 11월 수치 이후 최고치이고, 서비스업 PMI 수치는 작년 10월 수치 이후 최고치입니다. 다만 PMI는 50을 기준으로 확장과 위축을 나타내는데 여전히 PMI 수치가 50 미만이기 때문에 경기가 둔화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1 / 25(수)
다우존스 | 나스닥 | S&P 500 |
+ 0.03% | - 0.18% | - 0.02% |
테슬라 실적 발표
테슬라의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테슬라의 주당 순이익은 1.19달러로 예측치인 1.15달러를 상회했고, 매출은 243억 2천만 달러로 예측치 246억 8천만 달러를 소폭 하회했습니다.
테슬라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 상승했고, 분기 인도량과 연간 인도량 또한 역대 최대 인도량이었습니다. 이러한 실적이 발표되며 소폭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했는데 자동차 부문에서 마진율이 최근 5분기 가운데 가장 낮았기 때문입니다.
최근 테슬라 차량에 대해서 중국에서 약 13%, 한국에서 12%, 일본에서 10% 등 각종 할인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저하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테슬라의 어닝 콜 이후 계속 상승하며 애프터 장에서 5.5% 상승했습니다.
그동안 테슬라 차량에 대한 수요 감소 우려로 인해 주가가 흔들렸는데 일론 머스크는 어닝 콜에서 테슬라 차량에 대한 할인이 수요에 큰 역할을 하고 있고, 1월 주문량이 생산량에 두 배에 달하며 역대 최고 주문량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발표는 테슬라 하락에 중요한 소재였던 판매량 감소, 수요 감소를 잠재울 수 있기 때문에 테슬라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1 / 26(목)
다우존스 | 나스닥 | S&P 500 |
+ 0.61% | + 1.76% | + 1.10% |
미국 2022년 4분기 GDP 성장률
2022년 4분기 | 예상치 | 직전 수치 | |
전 분기 대비 GDP 성장률 | 2.9% | 2.6% | 3.2% |
연간 경제 성장률 | 2.1% | 5.9% |
미국의 작년 4분기 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2.9% 증가했습니다. 예상치인 2.6%를 상회하는 수치이지만 전 분기 상승률인 3.2% 보다는 소폭 둔화했습니다.
지난해 미국 GDP 성장률은 1분기 -1.6%, 2분기 -0.6%로 기술적 침체에 빠졌다고 평가되었지만 3분기 3.2%, 4분기 2.9%로 반등하면서 미국의 2022년 연간 경제 성장률은 2.1%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이 수치는 직전 수치인 2021년 연간 5.9%에서 크게 둔화한 수치입니다.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
1/26(이번 수치) | 예상치 | 1/19(직전 수치) |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18만 6천 | 20만 5천 | 19만 2천 |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 | 167만 5천 | 165만 9천 | 165만 5천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8만 6천 건으로 예상치 20만 5천 건을 하회했고, 직전수치인 19만 2천 건보다도 하락한 수치가 발표되었습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19만 건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입니다.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67만 5천 건으로 예상치 165만 9천 건과 직전 수치 165만 5천 건을 소폭상회하는 수치가 발표되었습니다. 현재 3주 연속 상승세입니다.
여러 기업들이 대규모 감원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아직 노동 시장의 둔화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인텔 실적 발표
장마감 이후 인텔의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인텔의 주당 순이익은 예상치 0.22달러를 한참 하회하는 0.1달러가 발표되었고, 매출은 예측치 145억 7천만 달러를 소폭 하회하는 140억 달러가 발표되었습니다.
또한 인텔은 1분기 매출 전망을 105억 달러에서 115억 달러로 제시했는데 시장 예상치인 139억 달러에 크게 하회하는 수치입니다.
인텔이 이러한 좋지 못한 실적을 발표한 이유는 경기 침체등으로 인해 PC 수요가 감소하고 있고, 데이터 센터 시장 둔화, 반도체 수요 둔화로 인한 마진율 감소 등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인텔은 본장에서 1.3% 상승하다가 실적 발표 이후 9% 하락했습니다.
1 / 27(금)
다우존스 | 나스닥 | S&P 500 |
+ 0.08% | + 0.95% | + 0.25% |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PCE) 발표
이번 수치 | 예상치 | 직전 수치 | |
헤드라인 PCE (전년 대비) | 5.0% | 5.5% | 5.5% |
헤드라인 PCE (전월 대비) | 0.1% | 0.2% | 0.1% |
근원 PCE (전년 대비) | 4.4% | 4.4% | 4.7% |
근원 PCE (전월 대비) | 0.3% | 0.3% | 0.2% |
미국 상무부에서 집계하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가 발표되었습니다.
모든 부문을 포함하는 헤드라인 PCE는 전년 대비 5.0%로 예측치와 직전 수치인 5.5%를 하회했고, 전월 대비는 0.1% 상승으로 직전 수치와 같았지만 예측치 0.2% 상승을 하회하는 수치입니다.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CE는 전년 대비 4.4%로 직전 수치 4.7%보다 하락하며 예측치와 부합했고, 전월 대비는 0.3% 상승으로 직전 수치 0.2% 상승보다 상승했고, 예측치와 부합했습니다.
근원 PCE와 헤드라인 PCE 모두 작년 9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입니다.
이번 PCE는 다음 주에 있을 FOMC 바로 직전에 발표되기도 했고, 연준은 통화 정책 등을 고려할 때 CPI 보다 PCE를 더 중요하게 보기 때문에 이번 PCE 둔화는 증시에 호재로 인식됩니다.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지수 발표
이번 수치 | 예상치 | 직전 수치 | |
소비자 기대 지수 | 62.7 | 62.0 | 59.9 |
소비자 심리 지수 | 64.9 | 59.7 | 65.6 |
1년 기대 인플레이션 | 3.90% | 4.40% | 4% |
5년 기대 인플레이션 | 2.90% | 3.0% | 2.90% |
미시간대에서 집계하는 소비자 심리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현재와 향후 미국의 경제상황을 전망하는 기대 지수와 심리 지수는 각각 62.7, 64.9로 예상치인 62.0과 65.6을 모두 상회한 것을 알 수 있고, 직전 수치인 59.9와 59.7에서 모두 상승했습니다.
또한 1년 후의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는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3.9%로 직전 수치인 4%보다 하락했으며 예상치 4.4%를 하회했고,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2.90%로 직전 수치와 같았지만 예상치 3.0%를 하회했습니다.
테슬라 11% 상승
테슬라는 이날 약 11% 상승했습니다. 테슬라가 어닝을 발표한 이후부터 이틀 연속 10%대 상승인데 이틀 동안 약 22% 상승했고, 이번주에만 33% 상승했습니다.
상승한 이유로는 여러 개를 찾을 수 있었는데, 테슬라 어닝 콜에서 나온 테슬라의 수요가 강화되고 있다는 발표, 그동안 많아진 공매도에 대한 숏 스퀴즈, 골드만 삭스 등의 테슬라 목표 주가 상향등이 있습니다.
# 마무리
다우존스 | + 1.81% | 달러 인덱스 | - 0.07% |
S&P 500 | + 2.47%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 + 0.60% |
나스닥 | + 4.32% | 빅스 지수 | - 6.85% |
이번주는 다음 주에 있을 FOMC에서 기준 금리가 25bp 인상될 거라는 기대감, 테슬라의 좋은 어닝 콜, 1월 PCE 둔화등의 이유로 크게 상승한 한 주입니다.
월 | 화 | 수 | 목 | 금 |
AMD(AMD) 엑손모빌(XOM) 화이자(PFE) |
메타(META) | 애플(AAPL) 구글(GOOG, GOOGL) 아마존(AMZN) 스타벅스(SBUX) |
다음 주에는 빅테크 중 애플, 메타, 구글, 아마존 까지 실적 발표를 하기 때문에 시장을 잘 주시해야하고 현재 가장 큰 이벤트인 FOMC가 다음주 화요일부터 시작하는데 현재 금리 인상 전망은 25bp가 98%이기 때문에 드디어 금리 인상 기조가 끝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기대가 있습니다.
* 개인적인 의견일 뿐 절대 투자 추천이 아니니 참고만 해 주시길 바랍니다.
* *오타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식 > 주간 증시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2월 두 번째 일지 (주간 미국 경제 지표, 뉴스 정리 2월 6일 ~ 2월 10일) (0) | 2023.02.11 |
---|---|
2023년 2월 첫 번째 일지(주간 미국 경제 지표 , 뉴스 정리 - 1월 30일 ~ 2월 3일) (0) | 2023.02.04 |
2023년 1월 세 번째 일지(주간 미국 경제 지표 , 뉴스 정리 - 1월 16일 ~ 1월 20일) (0) | 2023.01.22 |
2023년 1월 두 번째 일지(주간 미국 경제 지표 , 뉴스 정리 - 1월 09일 ~ 1월 13일) (1) | 2023.01.15 |
2023년 1월 첫 번째 일지(주간 미국 경제 지표 , 뉴스 정리 - 1월 02일 ~ 1월 06일) (0) | 2023.01.07 |
댓글